분류 전체보기27 신규 상장 의무 보유 (주식 락업) 1. 신규상장 의무보유의 개요코스닥 시장의 신규상장 기업은 상장 이후 일정 기간 동안 일부 주식을 의무적으로 보유해야 하는 의무보유 제도를 준수해야 한다. 이는 최대주주 및 주요 투자자의 책임경영을 유도하고, 단기 차익 실현을 방지하여 시장의 안정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 코스닥 시장 상장규정 제26조 제1항의 개념과 목적제26조 제1항은 코스닥 시장에 신규로 상장하는 기업의 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이 일정 기간 동안 보유 주식을 매도하지 못하도록 의무를 부과하는 조항이다. 이 조항의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다.주가 안정성 확보: 신규 상장 직후 대주주가 대량의 주식을 매도할 경우, 주가가 급락할 위험이 크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여 시장의 변동성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일반 투자자 보호: 일반 .. 2025. 2. 17. 전 세계 전통적인 증권거래소와 대체거래소(ATS)의 비교 및 분석 1. 서론전 세계 금융 시장은 전통적인 증권거래소(Stock Exchange)와 대체거래소(Alternative Trading System, ATS) 라는 두 가지 주요 거래 방식으로 운영된다. 전통적인 증권거래소는 공개적이고 규제된 시장에서 주식, 채권, ETF 등의 금융 상품을 거래하는 플랫폼이며, ATS는 비전통적인 거래소 외부에서 이루어지는 거래 시스템으로 주로 기관 투자자들이 이용하는 비공개 또는 반(半)공개 거래 플랫폼이다.본 글에서는 전통적인 증권거래소와 대체거래소(ATS)의 정의, 역사, 주요 거래소, 운영 방식, 거래량, 수수료 및 장단점을 비교 분석하여 이들 거래 시스템이 금융 시장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살펴본다.2. 전통적인 증권거래소(1) 전통적인 증권거래소의 정의전통적인 증권거래.. 2025. 2. 13. 미국의 대체거래소 (ATS: Alternative Trading System) 소개 미국 대체거래소(ATS: Alternative Trading System)의 정의, 역사, 거래량, 수수료 및 가치1. 대체거래소(ATS)의 정의대체거래소(Alternative Trading System, ATS)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규제를 받는 비전통적인 증권 거래 플랫폼으로, 기존의 뉴욕증권거래소(NYSE)나 나스닥(NASDAQ)과 같은 중앙 거래소 외부에서 주식 및 기타 금융 상품이 거래되는 시스템이다. ATS는 기존 거래소와 유사한 기능을 하지만 직접 시장을 조성하지 않고 중개 역할을 수행하며, 다크풀(Dark Pool), 전자통신네트워크(ECN), 내부자 주문 매칭 시스템 등 다양한 형태로 운영된다.ATS는 기관 투자자들이 대량 주문을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높은 거.. 2025. 2. 13. 코스닥 스팩(SPAC) 상장 규정, 준비 절차 및 준비 기간, 합병 기업 valuation 1. 코스닥 스팩 상장 규정스팩(SPAC, Special Purpose Acquisition Company)은 비상장 기업을 합병하여 간소화된 방식으로 상장할 수 있는 특수목적회사입니다. 한국거래소(KRX)는 코스닥 시장에서 스팩을 허용하며, 일정한 요건을 충족해야 상장이 가능합니다. ① 스팩 설립 요건스팩은 일반적인 영업 활동 없이 오직 기업 인수·합병을 목적으로 설립됩니다. 설립 주체는 금융투자회사(증권사) 또는 벤처캐피털(VC) 등이 주도하며, 투자자 보호를 위한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설립 주체: 증권사(IB) 또는 벤처캐피털(VC)최소 자본금: 30억 원 이상발기인 지분: 10~20% (상장 후 일정 기간 의무 보유)목적: 특정 기업과 합병하여 상장 지원상장 후 존속 기한: 3년(36개월) 내.. 2025. 2. 4. 나스닥 상장 폐지 요건과 상장 폐지 (Delisting) 후 진행 과정 나스닥(NASDAQ)은 미국의 대표적인 전자 증권거래소로, 세계적으로 기술주 중심의 기업들이 활발하게 거래되는 시장입니다. 하지만 모든 기업이 지속적으로 상장을 유지하는 것은 아니며, 일정한 요건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상장 폐지(Delisting) 절차를 밟게 됩니다.본 글에서는 나스닥 상장 폐지 요건과 상장 폐지 후 진행되는 과정을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나스닥 상장 폐지 요건나스닥에서 상장 폐지가 되는 이유는 크게 재무 요건 미충족, 주가 요건 미충족, 보고 의무 위반, 거래량 부족 등의 이유로 나뉩니다.1) 재무 요건 미충족나스닥은 상장 기업이 일정 수준 이상의 재무 요건을 충족하도록 요구합니다. 주요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자기자본(Stockholders’ Equity) 부족:나스닥 상장 .. 2025. 2. 1. 미국 스팩(SPAC) 상장의 주요 내용 1. SPAC 개요SPAC(Special Purpose Acquisition Company)은 한국어로 '기업인수목적회사'라고 하며, 특정 사업을 운영하지 않고 오로지 비상장 기업을 인수·합병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된 회사이다.전통적인 IPO(기업공개) 방식과 달리, SPAC은 먼저 공모를 통해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조달한 후, 이후 일정 기간 내(일반적으로 18~24개월) 비상장 기업을 인수하여 합병하는 방식으로 상장을 진행한다. SPAC이 인수한 기업은 SPAC의 상장 지위를 그대로 승계하게 되어 별도의 IPO 절차 없이 신속하게 증시에 상장할 수 있다.SPAC은 최근 몇 년간 미국 증시에서 급격히 증가하며, 특히 테크 스타트업이나 신생 기업들이 선호하는 상장 방법으로 자리 잡았다. 하지만 SPAC 상.. 2025. 1. 31.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