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

전 세계 전통적인 증권거래소와 대체거래소(ATS)의 비교 및 분석

by investment-highlights 2025. 2. 13.

1. 서론

전 세계 금융 시장은 전통적인 증권거래소(Stock Exchange)와 대체거래소(Alternative Trading System, ATS) 라는 두 가지 주요 거래 방식으로 운영된다. 전통적인 증권거래소는 공개적이고 규제된 시장에서 주식, 채권, ETF 등의 금융 상품을 거래하는 플랫폼이며, ATS는 비전통적인 거래소 외부에서 이루어지는 거래 시스템으로 주로 기관 투자자들이 이용하는 비공개 또는 반(半)공개 거래 플랫폼이다.

본 글에서는 전통적인 증권거래소와 대체거래소(ATS)의 정의, 역사, 주요 거래소, 운영 방식, 거래량, 수수료 및 장단점을 비교 분석하여 이들 거래 시스템이 금융 시장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살펴본다.

증권거래소

2. 전통적인 증권거래소

(1) 전통적인 증권거래소의 정의

전통적인 증권거래소는 매수자와 매도자가 공정한 환경에서 주식 및 금융 상품을 거래할 수 있도록 규제된 플랫폼이다. 거래소는 공개적인 주문 장부(order book)를 운영하며, 모든 시장 참여자들은 주문 가격과 거래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2) 전통적인 증권거래소의 역사

  • 1602년: 세계 최초의 증권거래소인 암스테르담 증권거래소(Amsterdam Stock Exchange, ASE) 설립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주식 거래)
  • 1792년: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 설립
  • 1801년: 영국 런던증권거래소(LSE) 설립
  • 19~20세기: 주요 국가들이 증권거래소 설립, 전자거래 시스템 도입

(3) 주요 전통적인 증권거래소 및 특징

현재 전 세계 주요 증권거래소는 다음과 같다.

                 거래소          국가 2024년 시가총액 (조 달러)                                     특징 
뉴욕증권거래소(NYSE) 미국 28.5 세계 최대 증권거래소, 대형 기업 상장 중심
나스닥(NASDAQ) 미국 24.3 기술주 중심, 전자거래 플랫폼
런던증권거래소(LSE) 영국 4.1 유럽 최대 거래소, 국제 기업 상장 활발
도쿄증권거래소(TSE) 일본 5.0 아시아 최대 거래소, 일본 대기업 중심
상하이증권거래소(SSE) 중국 8.2 중국 국영기업 중심, 정부 규제 강함
홍콩증권거래소(HKEX) 홍콩 5.7 중국 및 글로벌 기업 상장 활발
유로넥스트(Euronext) 유럽(다국적) 7.5 유럽 여러 국가의 기업이 상장
한국거래소(KRX) 한국 2.1 코스피, 코스닥 운영

3. 대체거래소(ATS, Alternative Trading System)

(1) 대체거래소의 정의

대체거래소(ATS)는 전통적인 증권거래소 외부에서 운영되는 전자거래 시스템으로, 주로 기관 투자자들이 대량 주문을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사용한다. 공개적인 주문 장부가 없거나, 제한적으로 운영되는 점이 특징이다.

(2) ATS의 역사 및 발전

  • 1990년대: 전자거래 시스템(ECN) 등장
    • Instinet, Island ECN 등이 ATS의 기반 마련
  • 2005년: 미국 SEC의 Reg NMS 도입
    • ATS 거래 활성화 및 다크풀(Dark Pool) 확대
  • 2010년대 이후: 고빈도 거래(HFT)와 ATS의 성장

(3) 주요 ATS 운영업체

현재 대표적인 ATS는 다음과 같다.

                            ATS                운영사                                              특징
IEX (Investors Exchange) 독립 ATS 공정한 거래 환경, "Flash Boys"로 유명
Liquidnet 독립 ATS 기관 투자자 대상 대형 주문 거래
Goldman Sachs Sigma X Goldman Sachs 대형 투자은행 운영 다크풀
Credit Suisse Crossfinder Credit Suisse 글로벌 투자은행 운영 다크풀
Morgan Stanley MS Pool Morgan Stanley 다크풀 및 내부 거래 지원
Citi Match Citigroup 대량 주문 매칭 시스템

 

4. 전통적인 증권거래소와 ATS의 비교

구분전통적인 증권거래소대체거래소(ATS)

        구분 전통적인 증권거래소 대체거래소 (ATS)
운영 방식 공개 시장, 주문 장부 운영 비공개 또는 제한적 공개 거래
참여자 기관 + 개인 투자자 주로 기관 투자자
투명성 높음 (실시간 호가 공개) 낮음 (일부 다크풀 거래는 익명)
거래 속도 상대적으로 느림 초고속 주문 매칭 가능
수수료 상대적으로 높음 낮음 (Maker-Taker 모델 적용)
시장 충격 대량 주문 시 가격 변동 가능 시장 충격 최소화 (특히 다크풀)

5. ATS의 가치 및 역할

(1) 거래 비용 절감

ATS는 일반적으로 전통적인 거래소보다 낮은 수수료 구조를 제공하여 기관 투자자들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2) 시장 충격 완화

다크풀 ATS는 대량 주문이 시장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여 기관 투자자들이 보다 안정적으로 거래할 수 있도록 한다.

(3) 고빈도 거래(HFT) 지원

ATS는 초고속 매칭 기능을 제공하여 밀리초(1/1000초) 단위의 초고속 거래를 지원한다.

(4) 개인 투자자의 접근성 확대

과거에는 ATS가 기관 투자자 중심이었으나, 최근에는 일부 ATS가 개인 투자자들에게도 개방되면서 시장 참여 기회가 늘어나고 있다.

6. 결론

전 세계 금융 시장은 전통적인 증권거래소와 ATS가 공존하는 구조로 운영되고 있다.

  • 전통적인 증권거래소투명한 시장 운영, 안정적인 거래 환경을 제공하지만, 거래 비용이 높고 주문 실행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리다.
  • ATS(대체거래소)는 낮은 수수료, 시장 충격 완화, 고빈도 거래 지원 등의 장점이 있지만, 투명성이 부족할 가능성이 있다.

향후 ATS의 역할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며, 전통적인 증권거래소와의 경쟁 속에서 새로운 거래 방식이 등장할 가능성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