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

나스닥 상장 폐지 요건과 상장 폐지 (Delisting) 후 진행 과정

by investment-highlights 2025. 2. 1.

나스닥(NASDAQ)은 미국의 대표적인 전자 증권거래소로, 세계적으로 기술주 중심의 기업들이 활발하게 거래되는 시장입니다. 하지만 모든 기업이 지속적으로 상장을 유지하는 것은 아니며, 일정한 요건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상장 폐지(Delisting) 절차를 밟게 됩니다.

본 글에서는 나스닥 상장 폐지 요건과 상장 폐지 후 진행되는 과정을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나스닥 상장 폐지 요건

 

 

1. 나스닥 상장 폐지 요건

나스닥에서 상장 폐지가 되는 이유는 크게 재무 요건 미충족, 주가 요건 미충족, 보고 의무 위반, 거래량 부족 등의 이유로 나뉩니다.

1) 재무 요건 미충족

나스닥은 상장 기업이 일정 수준 이상의 재무 요건을 충족하도록 요구합니다. 주요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자기자본(Stockholders’ Equity) 부족:
    • 나스닥 상장 기업은 일정 수준 이상의 자기 자본을 유지해야 합니다.
    • 일반적으로 자기자본이 250만 달러(약 33억 원) 이하로 감소하면 상장 폐지 위험에 처할 수 있습니다.
  • 순이익(Net Income) 부족:
    • 일부 기업들은 최근 몇 년간 일정한 순이익을 기록해야 합니다.
    • 연속된 몇 년 동안 순이익이 마이너스를 기록하면 상장 폐지 요건에 해당될 수 있습니다.
  • 총 자산(Total Assets) 및 총매출(Total Revenue) 기준 미달:
    • 총 자산 또는 연간 매출이 나스닥의 최소 요구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면 상장 폐지 위험이 커집니다.

2) 주가 요건 미충족

나스닥에서는 주가가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면 상장 폐지 요건에 해당됩니다.

  • 최소 주가 유지 기준 ($1.00 미만 유지 시 경고)
    • 나스닥은 상장 기업의 주가가 1달러 이상을 유지하도록 요구합니다.
    • 만약 30일 연속으로 주가가 1달러 미만이면, 나스닥은 해당 기업에 경고를 보냅니다.
    • 이후 180일의 유예 기간 동안 주가를 1달러 이상으로 회복하지 못하면 상장 폐지 절차가 진행됩니다.

3) 보고 의무 위반 (SEC 보고서 제출 불이행)

나스닥 상장 기업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정기적으로 재무 보고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 10-K(연례 보고서) 미제출 또는 10-Q(분기 보고서) 미제출
    • 보고서를 정해진 기한 내에 제출하지 못하면 나스닥에서 상장 폐지 경고를 받게 됩니다.
    • 연속적인 보고서 제출 실패는 강제 상장 폐지 사유가 될 수 있습니다.

4) 거래량 부족

나스닥은 주식의 유동성을 유지하기 위해 최소 거래량(Trading Volume) 요건을 요구합니다.

  • 일일 평균 거래량 부족:
    • 일반적으로 하루 평균 50,000주 이하로 거래량이 지속되면 상장 유지가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 투자자의 관심이 적은 기업은 상장 폐지 가능성이 커집니다.

 

2. 나스닥 상장 폐지 후 진행 과정

1) 상장 폐지 경고 및 유예 기간

나스닥은 상장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기업에 대해 경고를 보내고 일정 기간 동안 **유예 기간(grace period)**을 부여합니다.

  • 예를 들어, 주가가 1달러 미만으로 30일 연속 유지될 경우, 기업은 180일의 유예 기간을 받게 됩니다.
  • 이 기간 동안 주가를 회복하지 못하면, 추가적인 180일 연장 신청이 가능하지만, 일정한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2) 나스닥 청문회 요청 (Hearings Panel Request)

기업이 나스닥의 상장 폐지 결정을 받아들이지 않는 경우, 청문회(Hearings Panel)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 청문회에서 기업은 상장 요건을 다시 충족할 계획을 제시해야 합니다.
  • 나스닥이 이를 인정하면 일정 기간 동안 상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3) 상장 폐지 확정 및 거래 정지

청문회 요청 후에도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면, 나스닥은 최종 상장 폐지 통보를 하게 됩니다.

  • 이때 해당 기업의 주식 거래는 즉시 중단되거나 일정 기간 후에 중지될 수 있습니다.
  • 나스닥에서 정식으로 상장 폐지가 확정되면 OTC 마켓(장외 시장)으로 이전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4) 장외시장(OTC) 거래 또는 파산 신청

나스닥에서 퇴출된 기업은 다음과 같은 선택을 하게 됩니다.

  1. OTC 마켓(Over-the-Counter)로 이전
    • 상장 폐지 후, 일부 기업은 **OTC 마켓(장외 시장)**에서 거래를 이어갈 수 있습니다.
    • OTC 시장에서는 나스닥과 같은 엄격한 상장 요건이 없지만, 투자 신뢰도가 낮아질 가능성이 큽니다.
  2. 기업 구조조정 및 재상장 시도
    • 기업이 자금 조달과 구조조정을 통해 재정 상태를 개선하면, 나스닥 재상장을 시도할 수도 있습니다.
    • 재상장 요건을 충족하기 위해 기업은 주식 병합(Reverse Stock Split), 재무 개선 등의 노력을 기울입니다.
  3. 파산 신청(Chapter 11 Bankruptcy Filing)
    • 심각한 재정적 문제를 겪는 기업은 미국 법원에 **파산 보호 신청(챕터 11, Chapter 11)**을 할 수 있습니다.
    • 이는 법원의 승인 아래 부채를 조정하고 사업을 재정비하는 과정입니다.

 

3. 결론

나스닥에서 상장을 유지하는 것은 기업의 신뢰도를 높이고 자본을 유치하는 데 큰 이점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일정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면 상장 폐지 절차가 진행되며, 이후 OTC 시장으로 이전되거나 구조조정을 통해 재상장을 시도하는 등 다양한 경로를 택하게 됩니다.

기업이 지속적으로 나스닥 상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재무 상태를 유지하고, 주가 및 거래량 요건을 충족하며, 규제 당국의 요구 사항을 철저히 준수해야 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이해하면 투자자들은 상장 폐지 위험이 있는 기업에 대한 경계를 높이고, 보다 신중한 투자 결정을 내릴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