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

코스닥 유형별 상장 예비심사 관점에서

by investment-highlights 2025. 1. 24.

코스닥 유형별 상장 예비심사

 

1. 유형별 상장예비심사

코스닥 시장의 상장 유형은 벤처기업, 이익미실현기업, 기술성장기업, 코넥스 기업, 외국기업 및 SPAC(기업인수목적회사)로 구분됩니다.

  • 벤처기업 : 벤처기업은 일반기업에 비해 완화된 형식적 요건을 적용하여 심사를 수행 
  • 이익미실현기업: 성장성이 높고 일정수준 이상 시장평가를 갖춘 기업이 경영성과의 관계없이 상장이 가능하도록 이익미실현기업에 적용 
  • 기술성장기업: 전문평가기관의 평가를 통해 기술력과 성장성을 인정받아 진행 

2. 신규 상장 절차

상장 절차는 크게 사전 준비, 상장예비심사, 공모절차, 최종 상장 심사로 구성됩니다.

  • 사전 준비: 대표주관계약 체결, 정관 개정, 감사인 지정 등 진행합니다. 
  • 예비심사: 기업의 형식적 요건(주식 분산, 경영성과) 및 질적 요건(투명성, 경영 안정성)을 평가합니다.
  • 공모절차: 증권신고서 제출 후 수요예측 및 공모가 확정합니다. 

3. 상장심사의 주요 기준

  • 형식적 요건: 매출액, 자기자본, 주식 분산 비율 등 정량적 평가합니다. 
  • 질적 요건: 경영진의 투명성, 재무 안정성, 사업의 지속 가능성 등을 평가합니다. 
  • 특별 심사 항목: 투자자 보호와 이해관계자 간의 거래에 대한 공시 체계 점검합니다. 

4. 상장심사 사전 준비

  • 내부 통제 시스템: 모든 상장 기업은 내부회계관리제도를 구축하고 운영해야 하며, 외부감사인의 검토를 받습니다.
  • 전문 평가: 상장주선인과 기술 평가기관이 기업의 기술력과 성장 가능성을 공동 검토합니다.

5. 신규 상장 심사

  • 신규 상장 심사는 상장예비심사 이후 주요 변동 사항(예: 주식 분산 여부)을 확인하며 진행됩니다.
  • 주식 배정 및 공모 금액 납입 후, 최종 상장 승인이 이뤄집니다.

 

마무리

코스닥 시장은 기술력과 성장성을 기반으로 한 중소·벤처기업의 자금 조달 창구로 자리 잡았습니다. 이러한 제도는 혁신 기업이 자본시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상장을 준비하는 기업은 형식적 요건과 질적 요건을 철저히 검토하고, 신뢰할 수 있는 경영 체계를 구축해야 성공적인 상장을 이룰 수 있습니다.